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원전 해체 관련주, 어떤 기업이 수혜 받을까?

by 연금공장 2025. 8. 1.

안녕하세요, 요즘 AI와 데이터센터가 떠오르며 자연스럽게 에너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막대한 전력 소비를 감당하기 위해 원자력, 원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원전 해체에 집중해보려고 합니다. 500조 원 규모의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고 있어요. 국내에서도 고리 1호기 해체가 추진되며, 관련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원전 해체 관련주의 개념과 대표 종목, 그리고 왜 지금 주목해야 하는지를 종합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원전 해체 관련주는 무엇인가요?

원전 해체 관련주는 노후 원전의 폐쇄, 철거, 제염, 폐기물 처리 등 해체 작업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참여하는 기업들을 의미합니다. 기존의 ‘원전 관련주’가 원자로 제작, 운영, 발전설비 수출 등에 초점을 두는 반면, ‘해체 관련주’는 정비·제염·감시 기술 등 안전한 철거 과정에 중심을 둡니다.

구분 원전 관련주 원전 해체 관련주
핵심 사업 원전 건설, 설계, 운영 제염, 절단, 폐기물 처리
수익 발생 시점 정책 수혜 직후 해체 승인 후 수년간 지속
기술 방향 터빈, 원자로, 냉각계통 중심 방사성 제염, 폐기물 이송, 해체 엔지니어링

 

대표 원전 해체 관련주 6선

다음은 실질적으로 원전 해체 사업에 연관된 국내 주요 상장 기업들입니다.

 

① 한전 KPS (051600)

  • 국내 대표적인 발전소 유지보수 전문 기업
  • 고리 1호기 제염 작업 수행 중
  • 2025년, 캐나다 캔두에너지와 MOU 체결로 글로벌 협력 확대

② 한전기술 (052690)

  • 원전 설계 및 엔지니어링 전문
  • 해체 설계 경험 보유
  • 고리 1호기 해체 기본설계 참여

③ 우리 기술 (032820)

  • 원자력 계측제어 기술 기반 기업
  • 제염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공급 기대

④ 비에이치아이 (083650)

  • 보일러 및 원전 부속 설비 제작
  • 고리 1호기 제염 설비 납품

⑤ 에너토크 (019990)

  • 밸브 구동기 및 자동화 부품 제조
  • 원전 해체 라인 자동화 수요 수혜 예상

⑥ GS건설 (006360)

  • 플랜트·산업설비 해체 경험 보유
  • 물리적 원전 해체 공사 참여 가능성

 

왜 지금 원전 해체주를 주목해야 할까요?

현재 국내 원전 해체 산업은 ‘고리 1호기’ 올해 6월 26일 해체 승인으로, 2025년부터 본격적인 공정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한전 KPS와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정부의 에너지 전환 기조와 맞물려 '중장기 성장 가능성이 높은 섹터'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 해체 프로젝트는 장기적 수익 구조를 가짐 (10~20년 소요)
  • ✅ 글로벌 진출 가능성: 미국·유럽 시장 수주 확대 기대
  • ✅ 실적보다 기술 기반으로 평가 → 경쟁력 보유 기업에 집중 필요

 

투자 시 유의할 점

  • 해체 승인부터 실적 반영까지는 시간이 걸리는 산업
  • 테마 과열 시 단기 급등락 가능성 존재
  • 정책 변수(원자력안전위원회 승인, 사용 후 핵연료 처리 등)에 민감

 

결론

원전 해체는 단순한 철거가 아닌 고난도 기술 산업입니다. 국내 최초의 해체 프로젝트가 본격화되고 있는 지금, 관련 기업들의 기술력과 실적 경험은 앞으로의 글로벌 수주 경쟁력과 직결됩니다. 한전 KPS, 한전기술, 우리 기술 등 기술 기반 기업들을 중심으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