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본준비금’과 ‘비과세배당’ 이야기

by 연금공장 2025. 4. 3.

 

 

안녕하세요. 오늘은‘자본준비금’과 ‘비과세 배당’에 대해 쉽게 설명드릴게요 😊


📌 자본준비금이란?

기업이 주식을 액면가보다 높은 가격에 발행하면, 그 초과 금액은 ‘이익’이 아니라 ‘자본잉여금’으로 분류됩니다.
이 자본잉여금 중 일부가 바로 자본준비금이에요.

  • ✅ 주식 발행 초과금
  • ✅ 감자차익
  • ✅ 합병차익
  • ✅ 자기주식처분이익 등

즉, 자본준비금은 영업이익이 아니라 자본 거래 과정에서 생긴 잉여금이라고 보면 됩니다.


🧾 자본준비금으로 배당하면 좋은 점? (비과세 배당!)

 

기업이 자본준비금으로 주주에게 배당하면, 특정 조건 하에 ‘비과세 배당’이 가능합니다🎁

즉, 우리가 배당금을 받을 때 보통 내야 하는 15.4%의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거죠.

📍 단, 대부분의 경우 현금배당이 아니라 무상증자(주식으로 주는 배당)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 비과세 배당 시 주의할 점

  • 자본준비금의 종류에 따라 과세 여부가 달라질 수 있어요.
  • 무상증자 후 주가 희석 가능성도 있으니 장기적 관점 필요해요!
  • 기업이 자본을 너무 많이 배당에 써버리면 재무 건전성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 실제 기업 사례: 비과세 배당 → 주가 상승?

실제로 비과세 배당을 실시한 기업들이 있어요!
그중 대표적인 곳은 👇

  • 메리츠금융지주: 비과세 배당 발표 후 2년간 주가가 4배 상승! 🚀
  • 우리금융지주: 도입 발표 다음날 주가가 6% 급등 📈
  • 일진홀딩스: 시가배당률 약 9.5%의 고배당 실시로 투자자 관심↑

이처럼 비과세 배당은 세금 혜택뿐 아니라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자본준비금과 비과세 배당은 조금 생소할 수 있지만, 알고 보면 세금 절감 + 주주친화 정책으로 투자에 도움이 되는 개념이에요. 앞으로 뉴스에서 “비과세 배당”이라는 단어가 나오면 이제는 조금 더 친숙하게 느껴지시겠죠? 😊

다음 포스팅에서 또 만나요.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