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

체리피커 뜻? 합리적 소비자일까, 꼼수 소비자일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가벼운 경제용어를 가지고 왔습니다. 사실 경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용어 인데요, 저는 최근에 경제신문에서 이 용어가 눈에 띄더라고요. 최근 소비자 사이에서 자주 등장하는 말 중 하나가 바로 ‘체리피커’입니다. 좋은 것만 쏙쏙 골라 취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표현인데요. 오늘은 체리피커 뜻과 실제 생활 속 예시, 그리고 주의해야 할 점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체리피커(cherry picker) 뜻은 무엇인가요?‘체리피커’란 자신에게 유리한 부분만 선택해 이득을 취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체리를 고를 때 가장 예쁘고 잘 익은 것만 고르듯, 다양한 선택지 중에서도 최고의 혜택, 이득만을 취하는 소비 성향을 지닌 사람을 지칭합니다.본래는 농장에서 체리를 따기 위해 사용하는.. 2025. 8. 5.
원전 해체 관련주, 어떤 기업이 수혜 받을까? 안녕하세요, 요즘 AI와 데이터센터가 떠오르며 자연스럽게 에너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막대한 전력 소비를 감당하기 위해 원자력, 원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원전 해체에 집중해보려고 합니다. 500조 원 규모의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고 있어요. 국내에서도 고리 1호기 해체가 추진되며, 관련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원전 해체 관련주의 개념과 대표 종목, 그리고 왜 지금 주목해야 하는지를 종합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원전 해체 관련주는 무엇인가요?원전 해체 관련주는 노후 원전의 폐쇄, 철거, 제염, 폐기물 처리 등 해체 작업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참여하는 기업들을 의미합니다. 기존의 ‘원전 관련주’가 원자로 제작,.. 2025. 8. 1.
해저케이블 관련주 급부상! LS전선 미국 1조 투자로 본 투자 포인트 안녕하세요. 오늘은 쉽게 풀어드리는 경제이야기 소재로 해저케이블과 관련한 이야기를 가지고 왔습니다. 2025년, 세계 전력 인프라 시장에 굵직한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바로 LS전선이 미국 버지니아에 약 1조원 규모의 해저케이블 공장을 착공한 건데요. 전력망 재편과 친환경 에너지 확산 속에서 해저케이블은 새로운 인프라 테마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해저케이블의 개념부터 LS전선의 글로벌 전략, 관련 종목 투자 포인트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1. 해저케이블이란? 전기 시대의 ‘보이지 않는 길’해저케이블은 바닷속에 깔리는 고압 전력선으로, 주로 해상풍력 단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육지로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최근엔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AI 데이터센터, 전기차 공장, 반도체 시설과 같은 고전력 산업에서.. 2025. 6. 9.
캐즘 뜻, 전기차 시장 정체와 리튬 가격 하락의 연결고리 기술이 대중에게 퍼지기 전에 겪는 가장 큰 장애물, 바로 '캐즘(Chasm)'입니다. 전기차 시장이 현재 그 캐즘 앞에 멈춰 섰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동시에 리튬 가격도 폭락하고 있어 두 현상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캐즘의 정의와 함께 전기차 산업과 리튬 가격 하락 사이의 상관관계를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캐즘(Chasm) 뜻 – 기술 확산의 골짜기캐즘(Chasm)은 신기술이 대중 시장으로 넘어가기 전에 겪는 수요 정체 구간을 의미합니다. 제프리 무어의 『Crossing the Chasm』에서 소개된 이 개념은 '혁신자'와 '초기 수용자' 이후, '초기 다수층'으로 넘어가기 전의 큰 틈을 상징합니다. 이 시점에서 기술은 확산에 성공할 수도, 실패할 수도 있는.. 2025. 6. 2.